자바(2)
-
스프링에서 예외를 처리하기
만약 서버에서 에러(=예외)가 난다면? -> 서버가 죽는다(=멈춤)서버가 멈추면 안된다!그렇다면 발생하는 에러들을 Handle(다뤄주어야함) 해주어어야한다. -> 그것이 Exception Handle 어떻게? 가장 기초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try catch를 사용해서 "이러한 코드에서는 요런 에러가 발생하겠군.." 이라 생각하고 try로 감싼 후에 catch로 그 예외를 handle 해준다.하지만 언제 다 모든 코드들을 이렇게 예외처리 해주겠나.. 그래서 이렇게 2가지 측면으로 예외처리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외처리를 공통관심사로 빼서 따로 관리하자.""무슨에러임을 알 수 있도록 정보를 더 전달해주자." -> 보안적으로? 위험할 수 도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무슨에러임을 알 수 있게한다는건 http ..
2025.03.21 -
[1/7] TIL - 다형성, 상속,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 형변환의 필요성 정리
😊오늘 배운 내용오늘은 어제에 이어서 다형성, 추상클래스, 인터페이스를 배웠지만 상속부터 다시 개념을 정리해보려 한다. 상속이란? 부모가 자식에게 물려주는 행위를 말한다. 자바에서 상속은 부모 클래스 코드를 자식 클래스 코드에 물려주는 의미이다. 그럼 왜 상속을 사용할까?상속을 사용하면 적은 양의 코드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할 수도 있고 공통적인 코드를 관리하여 코드의 추가와 변경이 쉬워진다. 상속을 어떻게 할까?다음과 같이 상속을 할 수 있다.public class 자식클래스 extends 부모클래스 {}extends 부모클래스 를 하면 부모클래스를 자식클래스가 상속받겠다는 의미이다. 예제코드로 살펴보겠다.public class Car { String company; // 자동차 회사 p..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