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의 개발블로그

빈의 개발블로그

  • 분류 전체보기 (38)
    • Develop (13)
      • Git (0)
      • Java (2)
      • Spring (10)
      • Javascript (0)
      • HTML, CSS (0)
      • Database (1)
      • Python (0)
    • CS (0)
      • Operating System (0)
      • Computer Architecture (0)
      • Linux Programming (0)
      • Machine Learing (0)
      • Gen-AI (0)
    • 개발 회고 (22)
      • TIL (21)
      • Lesson Learn (1)
    • Project (0)
      • 졸업 프로젝트 (0)
    • Coding Test (0)
      • 오답노트 (0)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빈의 개발블로그

컨텐츠 검색

태그

생성자 스프링 계산기과제 html 콘솔출력지정 객체 인스턴스멤버와클래스멤버 java firestroe 개발자로서의자세 getter와setter 몰라도하기 트러블슈팅 jquery querydsl 필드와메서드 널세이프 자바 static 개발학습법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Develop/Database(1)

  • 1+N

    1+N은 왜 일어나는가? 기본 정의: N+1 문제는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퍼포먼스 문제하나의 쿼리로 N개의 객체를 로딩한 후, 각 객체에 연관된 데이터를 추가로 조회하는 개별 쿼리가 N번 실행되면서 총 N+1번의 쿼리가 발생하는 문제아니 그냥 하나만 추가되는건데 문제가 생기는거야??ㅇㅇ N+1 문제는 단순히 "하나의 쿼리가 더 실행된다"는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의 확장성과 성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구조적 문제요청이 동시에 여러 사용자로부터 발생한다면, 데이터베이스는 수백,수천,수만개의 쿼리를 추가 처리! 이런 코드는 절대 짜면 안되지만 이해를 쉽게하기 위한 예시!이런거 짜면 하루종일 시니어 개발자한테 혼납니다.public void prin..

    2025.03.12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