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22. 20:46ㆍ개발 회고/TIL
오늘은 웹개발에 있어서 필요한 여러 개념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강의를 쭉 들으면서 내가 헷갈리는 부분만 찝어서 여러 블로그를 찾아봤다. 모든 개념을 블로그에 정리하며 복습하기는 힘들것 같고 꼭 알고가야하는 내용이 있었는데 그 부분만 따로 정리를 해봐야 겠다.
포트번호
https://ccomccomhan.tistory.com/5
4.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 [01 인터넷 네트워크] - PORT
👀 한 번에 둘 이상 연결해야 하면? 현재 클라이언트 PC에서 게임, 화상통화, 웹 브라우저 요청도 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해보자. 즉, 클라이언트 PC가 여러 개의 서버와 통신해야 하는 상황이다.
ccomccomhan.tistory.com
localhost 8080 은?
https://www.lainyzine.com/ko/article/localhost-8080/
localhost:8080란?
localhost는 현재 컴퓨터를 가리키는 특별한 네트워크 주소입니다. localhost:8080은 현재 컴퓨터의 8080포트를 가리키며 자바 스프링, Node.js 등 웹 개발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www.lainyzine.com
현재 내 컴퓨터에 올린 서버의 8080 포트로 들어가겠다는 의미
멱등성? idempotent
https://june0122.github.io/2021/08/05/term-idempotent/
[프로그래밍 용어] 멱등성(idempotent)이란?
멱등성(idempotent)에 대한 개념
june0122.github.io
쿠키? 세션?
[Cookie & Session]란 무엇인가
1. Cookie란 HTTP 쿠키는 웹 쿠키, 브라우저 쿠키로도 불리는데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을 의미한다. 쿠키는 주로 세션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로그인 등의 정
haksae.tistory.com
https://interconnection.tistory.com/74
쿠키와 세션 개념
노션 페이지(아래 내용과 동일) 개요 쿠키와 세션은 개발자 말고도 인터넷 사용자라면 누구나 많이 들어본 단어입니다. 하지만 개념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기에 쉽고 간단하게 정
interconnection.tistory.com
'개발 회고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TIL - Spring Bean, 의존성 주입, Validation (2) | 2025.02.04 |
---|---|
[1/24] TIL - Spring Annotation, Client에서 Server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 (1) | 2025.01.24 |
[1/17] TIL - 키오스크 프로젝트에 Enum, Stream, IntStream 적용해보기 (1) | 2025.01.17 |
[1/16] TIL - 키오스크 프로그램 구현 + 장바구니 기능, static은 왜 쓰면 안될까, 다른 달팽이들은 신경쓰지 말자 (0) | 2025.01.16 |
[1/15] TIL - 키오스크 프로그램 구현, 엉덩이 아프다 (1) | 2025.01.15 |